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GTX-A 탑승 후기: 서울역에서 대곡역까지, 꿈의 속도 경험! 플랫폼 깊이!!!!

대한민국구석구석

by happywalker 2025. 3. 31. 00:10

본문

반응형

"상상만 했던 GTX, 드디어 타봤습니다!"

GTX-A 개통 소식을 듣고 얼마나 설렜는지 모릅니다.

서울에서 대곡까지, 상상도 못 했던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부풀어 직접 탑승해 봤습니다.

그 생생한 경험을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GTX-A 탑승 후기
GTX-A 탑승 후기

 

GTX-A 개요

GTX-A는 파주시 운정역에서 화성 동탄역을 잇는 총길이 약 80km의 고속 광역급행철도로, 주요 경유지는 운정, 킨텍스, 대곡, 서울역, 삼성, 수서, 성남, 용인, 동탄 등입니다. 2024년부터 순차적으로 개통되고 있으며, 현재 '수서-동탄', '운정중앙-서울역', 그리고 '구성역' 구간이 개통되었습니다. 최고 속도와 평균 운행 속도가 높아 기존 대중교통보다 빠르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으며, 서울역, 수서역 등 주요 환승역과의 연계를 통해 수도권 서북부와 남부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교통 혼잡 완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GTX-A 개요
GTX-A 타러 가는중

 

GTX-A 이용 요금(지하철 환승 포함)

GTX-A 요금은 기본요금에 이동 거리에 따라 추가 요금이 부과됩니다. GTX-A 홈페이지 자료에 따르면, 제가 이용한 서울역에서 대곡역까지의 요금은 3,700원입니다.

그런데 이날 저는 과천역에서 GTX-A를 타고 백석역까지 가는 데 총 3,750원을 지출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저는 지하철 4호선 과천역에서 GTX-A로 환승했고, 서울역에서 다시 3호선으로 갈아탄 후, 최종적으로 백석역에서 내렸습니다. 제 티머니 이용 내역을 확인해 보니, 이 날의 교통비는 총 3,750원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GTX-A 이용 요금
GTX-A 이용 요금

 

GTX-A 서울역 플랫폼 깊이

갤럭시 워치 3으로 측정한 서울역 GTX-A 플랫폼의 깊이는 -54m입니다.

GTX-A 서울역 플랫폼 깊이, 갤럭시 워치3 측정
갤럭시 워치3에 표출된 서울역 플랫폼 깊이

 

이는 서울 지하 깊숙이 위치한 GTX-A 플랫폼의 특성을 보여줍니다. 지하 7층 깊이에 해당하는 이곳은 일반 지하철 플랫폼보다 훨씬 깊어, 압도적인 규모를 자랑합니다. 길고도 긴 에스컬레이터를 2번 이용해야 플랫폼에 도착하더군요. 에스컬레이터 시작점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사람이 콩만 하게(?) 보일 정도로 깊습니다. 그리고 에스컬레이터 비상정지 버튼은 2개 정도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깊은 플랫폼 덕분에 지상 소음과 진동이 거의 느껴지지 않아 쾌적한 환경에서 열차를 기다릴 수 있더군요. 하지만 깊은 만큼 화재 등 유사시에는 어디로 대피해야 될지 전혀 감이 오지 않더군요. 다시 이곳을 이용한다면 그때는 세심하게 살펴보려고 합니다.

 

GTX-A는 깊은 플랫폼에서 출발하여 수도권 주요 도시를 빠르게 연결합니다. 깊은 플랫폼은 GTX-A의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운행을 위한 필수 요소로 보입니다.

GTX-A 서울역 플랫폼 깊이, 비상정지버튼 2개
GTX-A 서울역 플랫폼 깊이, 비상정지 버튼 2개

 

GTX 열차 탑승 느낌

GTX 열차에 탑승하는 순간, 일반 지하철과는 확연히 다른 쾌적함과 안정감에 놀랐습니다. 넓고 쾌적한 좌석, 조용하고 안정적인 주행은 마치 KTX를 타는 듯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특히, 빠른 속도에도 불구하고 흔들림이 거의 없어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열차에서는 지하건물에서 맛볼 수 있는 그런 불편한 냄새가 저에게는 옥에 티였습니다.

 

마무리

GTX-A는 서울과 수도권을 획기적으로 연결하는 꿈의 열차였습니다. 서울역에서 대곡역까지 순삭으로 도착할 수 있다는 사실은 놀라움을 넘어 감동적이었습니다. 앞으로 GTX-A는 많은 사람들의 출퇴근길을 책임지는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처음이라 그런지 환승시간이 꽤나 길게 느껴졌습니다.

그래도 바닥과 벽면 등에 GTX-A 환승 표시가 잘되어 있어 길을 헤매지는 않았네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